🎄 님의 2023년은 어땠나요~? 님 안녕하세요,
☃️12월, 추위를 녹여줄 온기 가득한 경기도마을공동체소식 전해드립니다🎄 |
|
|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법제화와 관련하여 경기 전역 활동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권역별 순회토론회가 12월 1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
|
|
▼하단 이미지 클릭 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북부권역] 접경지대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법제화 전망 (12/12) |
|
|
[남부권역]"마을만들기 가치와 활성화"(12/12) |
[서부권역]"국회 안의 마을, 국회 밖의 마을"(12/18) |
|
|
▼하단 이미지 클릭 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마을의 역사는 기억되어야 한다 '마을기록화 속 숨은 이야기' 1편 (안산, 광명, 동두천)]
과거는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의 것만이 아니다. 일어난 일을 기억하고 미래를 살아갈 이들에게 그 기억을 전해줄 의무가 있다. 기억은 기록을 통해 더 선명하게 유지된다.
경기도 마을공동체 지원센터에서는 2020년 이후, 경기도 마을종합지원사업에서 3년 차 활동을 마치고 졸업한 마을공동체 6곳을 그림으로 남겼다.
|
|
|
[경기도 마을정책플랫폼 도미니 운영위원 워크숍]
‘2023년 도미니운영위원 워크숍’은 2023년 도미니와 함께한 도미니 운영위원들의 한 해의 소감을 공유하고, 2024년의 도미니는 어떠한 모습으로 바뀔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이었다.
현장 스케치를 통해 도미니 활성화를 위한 도미니 운영위원들의 제언을 함께하고자 한다.
[자세히보기]
|
|
|
11월 23일 목요일부터 11월 30일 목요일까지
경기도 전역에서펄쳐지는마을공동체 활동공유회가 마무리되었습니다.
활동공유회 생생 현장 전해드립니다🙌 |
|
|
▼기사 이미지 클릭 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우리는 '경기마을펠로우'입니다.]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는 2021년부터 경기마을스런 및 경기마을펠로우 지원사업을 해왔다. 각 지역 현장활동가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활동가 서로가 비빌 언덕이 되어주자는 취지이다. |
[우리마을히어로 사례발표, 마을혁신기금 기반조성 공감토론회]
‘경기마을의 가치기부, 우리마을히어로 찾기’는 마을과 공동체, 그리고 활동가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 마을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마을공동체 혁신사례를 발굴하고 우리마을히어로를 선정하며, 마을활동가의 자발적인 기금모금사업을 통해 히어로들의 마을활동을 지원하고 마을공동체에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활동이다.
|
|
|
[2023 마을을 잇는 활동공유회 '#도미니_마을스타그램']
경기도마을정책플랫폼 도미니에서는 마을실험실 사업을 하고 있다. 주민들이 더 좋은 삶을 위한 방법을 상상하고 해결방안을 조사, 연구, 실험하여 체계화하는 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에도 61개 공동체가 삼삼오오, 정책상상, 작은연구, 우리마을실험실에 참가하여 다양한 활동을 마쳤다. |
[2023 경기도 마을공동체네트워크 활동공유회]
마을공동체 네트워크는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력하도록 상호작용을 돕는 신뢰망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 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는 역할을 한다. 경기도 마을공동체 네트워크는 마을 공동체간 네트워크와 역량 강화를 통해 급격한 도시화로 점점 쇠퇴하고 있는 경기도 마을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
|
|
[2023 경기도 마을정책연구 결과보고회 '경기마을 보고, 듣고, 말하기']
마을공동체 활동은 사람과 사회에 어떤 가치를 주고 있을까. 무형 가치를 화폐적 가치로 측정하고자 경기도 마을공동체 지원센터에서는 2023년 경기도 마을공동체 성과지표 개발, 시범 적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공동체, 주민자원 지표 3개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현장 활동가들과 연구진들이 522명 참여자를 대상으로 현장 기반 연구를 했고 현장 성과와 한계를 들여다보고자 노력했다. |
|
|
[2023년 제1기 경기마을기자단 활동공유회] 경기도 곳곳에서 직접 마을공동체를 찾아다니며, 마을 사람들이 말하는 마을 이야기를 소중하게 담았던 제1기 경기마을기자단. 그들이 전하는 지난 1년간의 마을 이야기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는지, 또 마을 활동을 통해 기자들은 무엇을 보고 느꼈는지 생생한 현장을 담아보았다.
경기마을기자단 이루세 기자 |
|
|
[#김포시]‘행복이’가 있어 더 행복한 우리마을
이곳에 지난 2020년 공동주택(아파트) 관리사무소와 같은 주민지원시설이 들어서게 됩니다. ‘월곶면 행복마을관리소(행복관리소)’라는 이름으로요. 당시 주민들은 행복관리소에 관심이라곤 1도 없었습니다. 왜냐고요? 불편해도 불안해도 그냥그냥 살아왔고, 또 그렇게 살면 되기 때문이죠.
경기마을기자단 양미희 기자 |
|
|
[#용인시]나의 소리를 찾아 우리 '같이 음악회' |
|
|
[교육] 가톨릭대학교 |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가를 위한 ESG대응 단기 집중 과정 수강생 모집 (~12/21) [바로가기]
[모집] 4·16재단 | RE-START SAFE KOREA 시민 안전정책제안 활동 지원 공모사업 (~1/11) [바로가기]
[모집] 환경재단 |시민사회 활동가 그린아시아 해외연수 지원사업 모집 (~1/16) [바로가기]
[모집] 알파라운드 | 청년 창공 라운드 프로젝트-알파라운드 입주기업 모집 (~12/29) [바로가기]
[모집] 빠띠 | 빠띠 타운홀이 여러분의 총회를 무료 지원합니다 (~1/31) [바로가기] |
|
|
님, 가족과 이웃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 더 건네는 한 주 되길 바라며 함께 읽고 싶은 분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
|
|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center@ggmaeul.or.kr (11775) 경기도 의정부시 청사로 5번길 8-7,2층(신곡동, 씨티메디타운) 대표전화 031-852-2299 |
|
|
|
뉴스레터를 더 이상 받고 싶지 않으시다면, 😢수신거부를 클릭해주세요 |
|
|
|
|